C 소스 코드를 작성할 때 기본적인 헤더파일들의 위치는


/usr/include/ 에 위치합니다.



Syntaxhighlighter 유틸리티를 사용해서 이쁘게 코드를 출력해서 사용하는 경우, 폰트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커서 불만인 경우가 많은데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이 유틸리티를 사용할 때 폰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설정된 css 파일은 shCore.css 입니다.

skin.html 에서

...
<link type="text/css" rel="stylesheet" href="./images/shCore.css">
...

와 같은 문구를 보셨다면

shCore.css 파일을 건드려주시면 됩니다.


shCore.css 파일을 메모장 등의 적절한 에디터로 연 후에,

...
font-size: 1em !important;
...

의 부분에서 1em을 12pt/1.1em 등으로 바꾸어주시면 됩니다.

크기가 적은 것 같다면 12pt 등으로 올려서 폰트 크기를 높혀주시고,

크기가 큰 것 같다면 9pt 등으로 낮추어 폰트 크기를 줄여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다시, 파일 업로드로 shCore.css 파일을 다시 한 번 업로드해주시면 끝입니다!



Thunderbolt to Gigabit Ethernet Adapter 를 구입했습니다...


악세사리라서 개봉기라 하기도 부끄럽지만 그냥 사진 몇 개 찍어 봤어요...:)









대학생분들이 '맥북'을 많이 사용하시는 것으로 아는데,

맥북은 처음 시동할 때 '둥~' 하는 소리가 납니다.

이게, 혼자 있을 때는 듣기도 좋고 하지만...

조용한 도서관에서 내 노트북에서 큰 소리로 '둥~'하면서 시동음이 난다면??? 매우 곤란할 수 밖에 없을 텐데요.


맥북 시동음. 제가 한 번 꺼보도록 하겠습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1. 터미널을 실행한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미널'을 찾아서 실행시켜줍시다.

찾기 귀찮다면 Control + Space 로 '스폿 라이트'를 이용합시다.



2. 터미널을 키셨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sudo nvram SystemAudioVolume=%80 


명령어를 입력하면, Password: 라고 뜨며 암호를 입력하라고 할 것입니다.

암호를 입력할 때, 아무리 문자나 숫자를 입력해도 화면에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게 정상적인 반응이며, 그냥 화면을 무시한 채로 여러분의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enter키를 누릅시다.


자, 끝입니다. 너무 쉽죠??




3. 다시 맥북 시동음을 듣고 싶나요??? 그렇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시다.


$ sudo nvram SystemAudioVolume



p.s) 일시적으로 맥북 시동음을 껐다 켰다 하고 싶으면,

맥북을 종료하기 전 '음소거'인 상태로 종료를 해보세요. 그 후 다시 시동한다면 맥북 시동음을 듣지 않을 겁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Mac OS X 운영체제의 시스템 메모리 체제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Mac OS X에서는 '활성 상태 보기'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시스템 메모리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Mac OS X의 시스템 메모리는 크게 4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여유 공간, 와이어드, 활성, 비활성


여유 공간: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메모리 공간입니다.


와이어드 공간: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공간입니다.


활성:

최근에 사용한 정보들 중 현재 메모리에 보관이 되어있는 정보들이 차지하는 메모리 공간입니다.


비활성:

현재는 사용하지 않지만 최근에 사용한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를 담고 있는 메모리 공간입니다.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 다시 실행시킬 떄 비활성 메모리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라면 더욱 빠르게 실행 복귀가 가능합니다.

느린 하드 디스크보다 램에서 정보를 가져오는 것이 훨씬 빠르기 때문입니다.


여유 공간 + 와이어드 + 활성 + 비 활성 = 총 메모리 공간

    와이어드 + 활성 + 비활성 = 사용됨

여유 공간 + 사용됨 = 총 메모리 공간




VM 크기:

Virtual Memory 크기라는 의미로, 가상 메모리의 크기를 말합니다.


페이지 입력 및 출력:

메모리와 하드 드라이브사이에 주고 받은 메모리의 용량을 의미합니다.

메모리가 부족해서 하드 드라이브에 기록하게 되는 경우 페이지 출력이 발생합니다. 

페이지 입력은 그 반대로, 램의 용량이 충분한 경우 하드 드라이브의 메모리를 램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따라서, 보통 램이 많을 수록 페이지 입력이 많은 경우가 많고, 램이 부족할 수록 페이지 출력이 많은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된 스왑 공간:

말그대로 사용된 스왑 공간을 의미하는데, 스왑 공간이란 물리적 메모리가 가득 찬 경우 하드 드라이브 상에서 사용되는 여유 공간을 의미합니다. 스왑 공간은 주로 적은 량의 램이 적재된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램이 많은 경우, 스왑 공간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