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r: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해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


압축 command:

tar cvf xxx.tar.gz


압축 해제 command:

tar xvf xxx.tar.gz


tar 명령어에 사용하는 몇몇 옵션들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x : 압축 해제한다.

-c : 압축한다.

-v : 압축하거나 압축해제의 과정을 전부 화면에 출력

-f : 파일이름을 지정한다.

-p : 파일권한을 저장한다.

-C : 파일을 압축해제할 경로를 지정한다.


간단하게 사용하는 예제를 보여드릴게요.





touch B C ;B C 라는 빈 파일(empty files)을 생성함.


tar cvf A.tar.gz B C ;B C를 압축하여 A.tar.gz 라는 압축파일을 생성.


rm B C ;B C 파일을 삭제함.(압축해제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tar xvf A.tar.gz ;A.tar.gz 압축파일을 해제함.


제대로 압축 해제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맥 OS X 운영체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기본적으로


Mac App Store 에서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이나 확인된 개발자의 어플리케이션만 실행이 가능하도록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보안을 지키기 위한 노력 중 하나이긴 하지만, 꼭 사용해야 할 어플리케이션인데도


실행할 수 없다면 정말 당황스럽겠죠..


▲ 확인되지 않은 개발자가 배포했다며 실행을 거부합니다...




이럴 때 해결방법이 있는데, 바로 


Mac OS X 의 '보안 및 개인 정보' 환경 설정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보안 설정을 변경해주는 것입니다.


▲ '시스템 환경설정'에 들어가셔서 '보안 및 개인 정보' 탭을 클릭합니다.

▲ '일반' 탭에서 '다음에서 다운로드한 응용 프로그램 허용:'의 내용을 변경해야 합니다. 왼쪽 하단 좌물쇠를 클릭해주세요.


▲ '다음에서 다운로드한 응용 프로그램 허용' 탭에서 '모든 곳'을 체크해줍니다. 

맥의 보안 수준이 낮아진다고 경고창이 뜨지만, '모든 곳에서 허용'을 누릅시다.


▲ 어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잘 작동하네요.



여기까지, 맥 OS X에서 어플리케이션이 보안 문제로 실행되지 않을때 해결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Mac OS X 버전: OS X Mountain Lion 10.8.5

 

Mac OS X을 사용하시는 분 중 웹브라우저 응용프로그램으로 '사파리'를 사용하시는 분이 많으실텐데,

 

기본적으로 사파리에서 네이버 사이트를 웹서핑하시다보면 대부분의 글꼴들이 '명조체'로 되어 있어서... 웬지 어색함??을

 

느끼실 거에요... 영어는 명조체와 같이 날카로운 폰트가 선호되지만, 한글은 어느 정도 동글동글해야 글씨가 이쁘잖아요 ^_^

 

  

Mountain Lion 운영체제부터, 사파리의 폰트는 CSS 파일을 이용해서 변경이 가능해졌습니다.

 

1. 사파리 환경설정 ( CMD + , ) 을 켜신 후, 

2. '고급' 탭을 클릭하신 후, 

3. '스타일 시트' 탭에서 '기타...'를 눌러 CSS 파일을 추가하면 됩니다.




그러면 그 CSS 파일은 어디있냐구요? 뭐.. 제가 첨부해드려도 되지만, 간단하게 직접 만들어보는것도 재밌지 않을까요?

 

실제로, 나눔 고딕을 적용할 수 있는 CSS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것을 그대로 메모장에 적고

 

확장자만 .css 로 바꿔주면 너무나 간단하게 CSS 파일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


* { 
font-family: lucida grande, 나눔고딕, NanumGothic !important; line-height: 1.4em;
}


설명을 하자면, lucida grande 를 기본 폰트로 하되, 


사용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면 한글..), 나눔 고딕 체를 사용하라는 뜻입니다.

 

 

 

자, 조금 더 응용을 해보도록 합시다.

 

저 글 그대로 복사해서 CSS 파일 만드신 후 추가하면, 사파리의 모든 글들이 '나눔고딕'으로 바꿔있음을 아실 수 있어요.

 

그런데, 영어는 날카로운 명조체로, 한글은 나눔고딕체로 사용하고 싶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상황에 따라서 다른 폰트를 쓰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할까요?

 

제가 사용하는 CSS 파일의 내용을 소개하겠습니다.

@font-face {
    font-family: "돋움";
    src: local("Apple SD Gothic Neo"),
    local("Nanum Gothic");
}
@font-face {
    font-family: Dotum;
    src: local("Apple SD Gothic Neo"),
    local("Nanum Gothic");
}
@font-face {
    font-family: DotumChe;
    src: local("Apple SD Gothic Neo"),
    local("Nanum Gothic");
}
@font-face {
    font-family: "굴림";
    src: local("Apple SD Gothic Neo"),
    local("Nanum Gothic");
}
@font-face {
    font-family: Gulim;
    src: local("Apple SD Gothic Neo"),
    local("Nanum Gothic");
}
@font-face {
    font-family: GulimChe;
    src: local("Apple SD Gothic Neo"),
    local("Nanum Gothic");
}
@font-face {
    font-family: AppleGothic;
    src: local("Apple SD Gothic Neo"),
    local("Nanum Gothic");
}


이 CSS 파일을 설명하자면, 돋움, 돋움체, 굴림, 굴림체, AppleGothic 체 등에 대해서,

 

Apple SD Gothic Neo체, 사용하지 못할 경우는 나눔 고딕체를 사용하라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영어를 사용하는 외국 사이트에서는 돋움체와 같은 폰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영향을 받지 않고 한글을 사용하는 사이트에 대해서만 나눔고딕/ Apple SD Gothic Neo 체를 사용하실 수 있는 겁니다. :)

 

 

이제 제가 사용하는 CSS 파일들을 보면 대충 눈치 빠른 분은 어떻게 응용하실지 알겁니다.


@font-face {

font-family: [바꿀 폰트];

src: local("[바꾸고 싶은 폰트]");

}

 

와 같은 형태로 CSS 파일을 만들어주시면 되는겁니다. ^_^

 

 

그럼 이제 스스로 CSS 파일을 만들어서 사파리 어플리케이션 의 가독성을 늘려보도록 합시다!!!


여기까지, "맥 사파리  폰트 설정하기 - 나눔 고딕 CSS 파일 만들기 및 응용" 포스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설치 URL 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www.wacom.asia/kr/tablet-drivers?tid_1=242&tid=49


솔직히 드라이버를 받는 것 때메 헤맷다기 보단 어떤 놈을 받아야 하는지 때문에 헷갈렸었네요..ㅎㅎ;;


저같은 경우, CTL-480 이라고 하는 태블릿을 그냥 품번? 제품번호만 보고 선택한 것이라


이 놈의 정확한 명칭을 알지 못했습니다....




CTL-480 은 와콤의 '인튜어스 펜' 이 정확한 제품 명이랍니다. :)


따라서, 


"사용하는 태블릿 모델을 선택해주세요"의 답은 "Intuos" 로 하시면 되고, 


"사용하는 컴퓨터 운영체제를 선택해주세요"의 답은 "Mac OS X"(여러분이 쓰시는 운영체제로..)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태블릿 드라이버 설치하시고 즐거운 태블릿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스북을 보다 보면 사진 같은 거는 오른쪽 클릭하고 나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 버튼만 누르면 바로 저장이 되는데,


동영상 같은 경우는 그렇지 않죠...;; 동영상도 모아두고 싶고, 다운로드 하고 싶은데 말입니다...


페이스북에 업로드된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을 수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Download Facebook, YouTube Videos' 싸이트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사이트의 주소(URL)은 'http://downvids.net' 입니다.



위 사이트를 들어가보시면 저렇게 URL을 넣고 다운로드를 누를 수 있는 공간이 보이는데,

 

동영상의 URL을 복사해서 이 곳에 복사해서 집어 넣은 후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_^


 


 URL 을 복사한 후, downvids.net 사이트의 입력란 창에 집어넣고 다운로드 버튼을 누릅시다!!


그러면 위와 같이 "Downlaod this Video" 하얀 버튼이 생깁니다. 보이시죠?


이 버튼을 우클릭하신 후, 저장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마도 '다른 이름으로 저장' 따위의 컨텍스트가 뜰 겁니다.


(컴퓨터 환경이 맥이라 사소한 단어 차이는 날 수 있습니다. ^_^ )





자, 이제 페이스북 동영상이 다운로드되어 컴퓨터에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페이스북에서 사진뿐만 아니라 동영상도 차곡차곡 모으도록 합시다~ ^^


슬슬 본격적으로 블로그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컴퓨터 전공 관련 지식을 설명할 떄 어느 정도의 그림이 곁들여지면 더 좋겠다고 생각해서

 

태블릿 구입에 대한 급뽐뿌를 받았고,

 

그것에 대한 결과가 바로 CTL-480 입니다. 



 




와콤 인튜어스 타블릿 CTL-480 입니다.... 제품 명은 '인튜어스'(Intuos)이고 제품번호?가 CTL-480 인것이죠...

'인튜어스' 자체가 와콤의 라인업? 중 하나 처럼, 브랜드처럼 쓰이기도 하는데, 일단 이 제품의 명칭은 '인튜어스'입니다.





와... 깔쌈하게 포장 잘한듯... 이런 깔끔한 포장 너무 맘에 드네요





Welcome... 환영합니다






뜯어보면 포장으로 가려진 태블릿과 인튜어스 펜이 들어 있습니다..





포장을 뜯고 나면 설명서 및 CD가 동봉된 작은 박스와 간단한 품질 보증서, 유선 연결선 등도 보이네요.

참고로 이 유선포트의 경우 범용 안드로이드 충전기랑 호환이 되는 거 같던데 말입니다. 마이크로 5핀 규격이더라구요.

잃어버리면 쓰던 안드로이드 폰 충전기를 사용하면 되겠네요....ㅋㅋㅋㅋ 

하지만 이 유선포트가 꺾여 있는 부분이 있어서 더 간지에요


 

 

태블릿 뜯어봤으니 이제 드라이버 설치를 하고 사용하러 가봐야겠습니다만....

내일 모레가 시험입니다. 딱 써보기만 하고 바로 공부하러 가야겠습니다....ㅠㅠㅠ

 

 

+ Recent posts